새로운 글

  • 새로운 소식이 있나요?
  • 이미지
    2025-01-27

    글쓰기가 재밌어진다.

  • 이미지
    2025-01-27

    아무나 가입할 수 없는 스레드 서비스

    1. 초대장 링크를 보내고 해당 링크의 유저만 가입을 받게 한다던가?

  • 이미지
    2025-01-27


    image
  • 이미지
    2025-01-27

    이걸 어떻게 포장해서 잘 파는가. -_-;

  • 이미지
    2025-01-27

    모두 수정완료

    3
  • 이미지
    2025-01-27

    모바일 리스트 푸터 가려지는 현상 수정하기

    2
  • 이미지
    2025-01-26

    진도가 잘 안나가진다 ㅠ


    image
    1
  • 이미지
    2025-01-26

    네이버로 로그인

  • 이미지
    2025-01-26

    스레드는 내 글을 관심있는 유저에게 잘 노출시키는데 있다

    스레드 형식 사이트에 느낀건 지나간 내용들 검색하기가 불편하다는 점이다.


    스레드는 과연 어떻게 관심 있는 주제를 관심있어하는 유저에게 전달할 수 있을까가

    제작의 핵심 같다.

  • 이미지
    2025-01-26

    1. 기능 기획

    2. 개발

    3. 퍼블

    4. 디자인

    이런 과정들이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듯.

    8
  • 이미지
    2025-01-26
  • 이미지
  • 이미지
    2025-01-25

    https://youtu.be/8GgnpCdNtEw?si=6-gO_VB7s6FnKiOV


    유튜브 영상 재생 테스트

    4
  • 이미지
    2025-01-26

    다들 SNS 많이 하시나요?

    작년에 인스타그램에 있는 스레드를 보고 재미나서 한동안 했었지요.

    그동안 설치형SNS에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있던 찰나(라기엔 너무도 한참 동안 거진 10년을 생각만 하고 있었네요.)


    거진 작업을 했고 댓글에 대한 대댓글-대대댓글, 대댓글 이런 타고 내려가는 구조의 UI에 대해서 고민 중입니다.

    XE타운의 경우 아주 신박한 방법으로 댓글 화면 UI를 구현해냈다고 생각합니다.

    초기엔 이런 구성이 아니었는데요. (혹시 코노리님께서 참조하신 사이트가 있으셨던걸까요?)

    댓글
    - 대댓글
    - 대대댓글
    - 대댓글
    이런 구조인데요. 인스타그램 스레드를 참조해서 작업을 했는데
    대댓글인 경우 스레드는 그냥 별도의 화면으로 다시 타고 내려가서 화면 ui를 구성하던데, 다른 게시판에서 이와 같은 구조의 참조사이트가 있을까요.

  • 이미지
    2025-01-24

    image
    2
  • 이미지
    2025-01-24

    비회원 글쓰기 테스트

  • 이미지
    2025-01-23

    브랜딩은 수렴하는 일

    image
    4
  • 이미지
    2025-01-23

    지금 스레드 만드는데 
    요즘 라이믹스가 빠르긴 빨라져서 
    그렇게 이용상에 문제는 없는데, 

    그래도 스레드에서는 글 클릭시 이동 속도가 넘사 수준이네요.

  • 이미지
    2025-01-23

    디자인이 중요한거 같다.

    아무도 관심이 없는걸.

  • 이미지
    2025-01-23

    라이믹스 제품 판매 사이트

    이온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