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S솔루션마켓, 이온디 - 워드프레스, 라이믹스, 카페24, 그누보드, 엑셀

홈페이지 제작팁

Home Study WEB 웹팁
리눅스 기본명령어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홈작업을 하실 수 있습니다.
rm

폴더/파일 삭제시 이용합니다.

rm file1    : file1 삭제
rm -r dir1  : dir1 삭제
rm -rf dir1 : dir1 강제삭제 (확인메세지 x)
 

rm 관련 추가
위와 같은 방식으로도 폴더가 지워지지 않을 시에,

<? exec("chmod -R 707 ./지우고 싶은 폴더명"); ?>

"chmod.php"

이렇게 저장한 것을 ft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웹에 올리고
예) www.도매인명.co.kr/파일명.php
하시면 해당 폴더의 퍼미션이 변경 되었을 겁니다.
그리고 바로 삭제 하시면 됩니다.

위에 707 해서 지워지지 않으면 706으로 변경후 삭제 하셔도 됩니다.

tar

폴더/파일의 압축/해제시 이용합니다.


tar cvzfp file1.tgz dir1 : dir1 전체를 file1.tgz 파일로 퍼미션 보존 압축
tar xvzfp file1.tgz      : file1.tgz 파일을 압축해제  

현재 내 서버에는 위 명령어가 되지 않는다.
참조 : http://miniwini.com/miniwinis/bbs/index.php?bid=qna&mode=read&id=46896

단지 하나의 파일로 묶기만 가능하고 압축은 되지 않는다.

■ 하나의 파일로 묶기 - 이것만 된다.
tar cvf 파일명.tar 압축할폴더명
예) tar cvf backup.tar www 

■ 압축하기 - 현재 내 서버에는 되지 않는 명령어(위 링크 참조)
tar cvfz 파일명.tar.gz 압축할폴더명
예) tar cvfz backup.tar.gz www

■ 압축 풀기
1) 묶었을때>> tar xvf 묶은파일명.tar
2) 압축시에>> tar xvfz 압축한파일명.tar.gz

■ zip으로 압축하기 압축 풀기
zip 설명 보기 명령어 : zip
zip 파일이름 -x

■ rar로 압축하기 압축 풀기
unrar x 파일명

gzip이나 bzip2권한이 없다고 한다.
zip이나 unrar은 설치되지 않았고..-_-;;

mv

폴더/파일의 이름을 변경하거나 이동시킬때 이용합니다.


  mv file1 file2   : file1 이름을 file2 이름으로 변경
  mv file1 dir1    : file1 을 dir1 폴더안으로 이동
 

cp

파일이나 폴더 복사 시 이용합니다.


cp file1 file2      : 파일 file1 을 file2 로 복사 
cp -a file1 file2   : 파일의 소유권과 퍼미션 유지 복사 
cp -a file1 dir1    : file1 을 dir1 폴더안으로 복사 
cp -a dir1 dir2     : 폴더 dir1 을 dir2 로 복사 (dir2 가 있는 경우 dir2 하부에 복사)


 

mkdir
폴더를 만들때 이용합니다.



etc

그 외


* du -sh : 현재 디렉토리 하위포함 하드용량을 출력합니다.


* cd : 디렉토리 이동시 이용합니다. 
cd 폴더명 : 폴더명 폴더로 이동 
cd ..     : 상위 폴더로 이동 
cd ~      : 홈 폴더로 이동 
cd -      : 이전 폴더로 이동

* ls : 현재 디렉토리의 내용을 출력합니다.   
ls        : 간략한 리스트 출력 
ls -l     : 자세한 리스트 출력 
ls -al    : 숨김파일포함 리스트 출력


* pwd : 현재 위치의 절대경로를 출력합니다.

* chmod : 폴더/파일의 퍼미션(권한설정)시 이용합니다. 
chmod 707 file1        : file1 을 707 퍼미션으로 변경 
chmod 707 dir1        : dir1 을 707 퍼미션으로 변경 
chmod 707 dir1 -R        : dir1 과 dir1 하부 자료 707 퍼미션으로 변경

* passwd : 계정 비밀번호 변경시 이용합니다. 
변경 순서 : 1. 현재 비밀번호 입력             
2. 신규 비밀번호 입력             
3. 신규 비밀번호 재입력

* exit : 쉘 접속 종료시 이용합니다.

 
댓글은 로그인 사용자만 작성 가능합니다. 로그인하기
  • 2009 년 01 월 13 일 (07:24)

    - disk used : 디스크 사용량 보기

    - / 디렉토리 하위 디렉토리가 사용하는 용량
    du -hs /

    - 하위 한 디렉토리까지만 사용량 보고
    # du -h --max-depth=1

    # df -k
     
    df 명령어로 보시면 됩니다. -k옵션은 킬로바이트로 용량을 보여주겠다는 것입니다.

    간단하게 du -sk 로 디렉토리 용량을 보실 수 있으며
    파일까지 보시려면 du -sk ./* 하시면 하위 디렉토리와 함께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들도 용량이 표시됩니다.
     
    그리고 용량이 큰 순으로 보시려면
    du -sk ./* | grep sort -nr 하시면 됩니다.

    예) du -sh home 하시면 home에서 사용하는 사용량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df - 디스크 용량 확인
    df [옵션]
    옵션
    -a 디폴트로 생략된 0 블록 크기까지도 보여줌
    -i 파일크기를 inode로 디스크 정보를 보여줌
    -k 파일 크기를 KB로 보여줌
    -T 파일 종류와 함께 디스크 정보를 보여줌
    -h 쉬운 용량 표시 단위로 표기

    du [옵션]
    -a 해당 경로에 대한 사용한 디스크 용량 표시
    -k 용량 표시 단위를 킬로 바이트로 표시
    -m 용량 표시를 메가 바이트로 표시

    du 명령어와 df 명령어의 차이점
    du 명령어는 사용한 디스크 용량을 확인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명령어이지만
    df 명령어는 디스크에 남아있는, 사용 가능한 용량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답변 달기
  • 2009 년 01 월 13 일 (07:26)

    du 명령어 (파일및 디렉토리의 용량을 확인한다.)


     

    제공 : 리눅스포털 -수퍼유저코리아-

     

     

     

     

    Disk Usage의 약어로서 파일및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du 명령어는 현재디렉토리의 용량뿐 아니라 현재디렉토리의 서브디렉토리 및 파일들 까지 모두 함께 사용량을 계산하여 표시해 준다.
    기본 용량표시단위는 kbyte이다.

     

    사용형식

           du [OPTION]... [FILE]...

     

    사용예 #1

    특정 디렉토리내에 존재하는 파일들의 개별용량을 확인코자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한다.
    "du 디렉토리명"이라고 하면 지정한 디렉토리내에 존재하는 모든 파일의 용량을 파일명과 함께 표시해 준다.

    다음은 그 예이다.

    [root@host3 /]# du /etc 
    184     /etc/sysconfig/network-scripts
    4       /etc/sysconfig/console
    4       /etc/sysconfig/networking/devices
    4       /etc/sysconfig/networking/profiles/default
    8       /etc/sysconfig/networking/profiles
    20      /etc/sysconfig/networking
    16      /etc/sysconfig/apm-scripts
    20      /etc/sysconfig/rhn
    372     /etc/sysconfig
    60      /etc/X11/desktop-menus
    ....
    ....

    위의 예는 /etc/에 존재하는 모든 파일들(서브디렉토리내의 파일들 까지 포함)의 용량과 함께 파일명을 표시해 준다.
    용량 단위는 kbyte단위이다.

    하지만 /etc내에는 수많은 파일들이 존재하므로 한 화면에 모두 표시되지 않는다.
    그리고 모두 표시된다 하더라도 한눈에 정확하게 어떤파일이 얼마의 용량을 차지하고 있는지를 한눈에 확인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이번에는 전체 용량을 정리하여 한번에 보여주는 예를 보도록 하자.

    사용예 #2

    이번에는 /etc 디렉토리의 전체용량이 얼마나 되는가를 확인해 보도록 하자.
    "-s"(summary)을 사용하면 지정된 디렉토리내에 존재하는 모든 파일과 서브디렉토리들의 용량을 합쳐서 표시해 준다.

    [root@host3 /]# du -s /etc
    12892   /etc
    [root@host3 /]#

    위와 같이 전체용량을 간략히 표시할 때에는 -s옵션을 사용한다.
    위의 예에서 /etc/는 12,892byte를 현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좀 용량단위가 표시되지 않아서 불편해 보일 수도 있다.
    이것을 좀 더 간편하게 용량단위까지 표시해 보도록 하자.

    사용예 #3

    이번에는 /etc 전체용량을 용량의 단위까지 표시해서 확인해 보자.
    즉, 전체용량을 모두 합해서 용량단위까지 붙여서 출력하라는 옵션은 "-sh"옵션을 사용한다.

    "-h"(human-readable)는 단위를 표시하게 하는 du명령어의 옵션으로서 Kbyte 또는 MBbyte또는 GByte등의 용량표시를 해주게 된다.
    K, B, G단위는 용량의 크기에 따라서 간편한 쪽으로 표시된다.
    즉, human-readable의 약어인것 처럼 사람이 좀 더 읽기 편하게 표시해준다는 의미이다.

    [root@host3 /]# du -sh /etc
    13M     /etc
    [root@host3 /]#

    위의 예는 /etc의 전체 용량이 13M가 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번에는 좀 더 현실적인 예를 들어 보자.
    서버관리를 하다보면 루트디렉토리 밑에 존재하는 각 디렉토리들의 개별 사용량을 확인하거나 확인하여 보고서를 작성해야할 때도 있을 것이다.
    이때 간편하게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개별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root@host3 /]# du -sh /*
    6.8M    /bin
    5.2M    /boot
    12K     /command
    428K    /dev
    13M     /etc
    216K    /home
    4.0K    /initrd
    44M     /lib
    16K     /lost+found
    4.0K    /misc
    8.0K    /mnt
    4.0K    /opt
    1.0K    /proc
    4.0M    /root
    12M     /sbin
    48K     /tftpboot
    500K    /tmp
    1.7G    /usr
    44M     /var
    [root@host3 /]#

    보다시피 / 밑에는 개별 시스템 디렉토리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때 간편히 위와 같은 명령어로 개별 디렉토리의 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좀 더 실무적인 접근을 해보자면, 호스팅 서버에서는 개별 사용자들의 계정 사용량을 확인해야할 경우가 종종 있을 것이다.
    이때에는 다음과 같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아래는 /home의 전체용량을 확인한 것이다.

    [root@host3 /]# du -sh /home/
    59M     /home
    [root@host3 /]#

    그리고 계정사용자들의 개별사용량을 확인한 것이다.
    [root@host3 /]# du -sh /home/*
    13M     /home/bible
    15M     /home/bible1
    17M     /home/bible2
    15M     /home/bible3
    [root@host3 /]#


    사용법 #4

    개별 사용자가 자기가 사용하는 계정의 전체용량을 확인하고자 할때에는 다음과 같이 한다.
    telnet이나 ssh등으로 서버로 로그인한 다음 "du -sh ~자기ID"라고 하면 현재 자기가 사용중인 계정의 전체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root@host3 /]# du -sh ~bible
    13M     /home/bible
    [root@host3 /]# du -sh ~bible1
    15M     /home/bible1
    [root@host3 /]#

    이상으로 du에 대한 설명을 마친다.
    참고로 du 명령어는 df명령어와 함께 익혀두는 것이 서버관리 공부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작권: 리눅스포털 (
    www.superuser.co.kr), 무단 재배포및 복사를 금합니다.


     

    출처 : http://www.superuser.co.kr/superuserboard/view.html?id=35&code=linuxcom&start=50&position=

    답변 달기
  • 2009 년 01 월 13 일 (07:29)

    df 명령어 (파일시스템들의 사용량 정보확인)

     

     

     

    제공 : 리눅스포털  -수퍼유저코리아-

     

     

     

    현재 사용중인 파일시스템의 전체용량, 사용한 용량, 사용가능한 용량, 사용율, 마운트정보등을 보여준다.
    즉, 이 명령어는 현재 사용중인 파일시스템들의 디스크사용량을 출력한다.

    서버 장애의 주된 원인이 될 수 있는 File System Full(파일시스템이 꽉참)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버관리자의 주된 업무중 한가지가 주기적인 파일시스템 사용량 점검이다.
    이때 파일시스템의 사용량점검을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가 df이다.

    또한 df 명령어는 /etc/fstab파일에서 파일시스템정보를 참조하고, /etc/mtab에서 마운트된 정보를 참조한다.

    그리고 기본표시 용량단위는 KB(Kilo Byte)이며, 주로 서버관리자(root)가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사용형식

           df    [-aikPv]    [-t    fstype]    [-x    fstype]    [--all]    [--inodes]   [--type=fstype]
           [--exclude-type=fstype] [--kilobytes]  [--portability]  [--print-type]  [--help]  [--version]
           [filename...]


    사용예 #1

    다음과 같이 파일시스템 사용량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간단히 "df"라고만 하면 된다.

    [root@www root]# df 
    Filesystem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dev/hda2              5036316   1496644   3283840  32% /
    /dev/hdb1            118729904 102705776   9992928  92% /backup
    /dev/hda1               241116      7587    221081   4% /boot
    /dev/hda6            112420772  74125460  32584608  70% /home
    none                    256560         0    256560   0% /dev/shm
    /dev/hdc             118733244  93534688  19167188  83% /backup2
    /dev/hdd             118733244  52458312  60243564  47% /backup3
    [root@su21 root]#

    위의 결과를 보면...

    첫번째 필드는 파일시스템 장치명(device name)이며,
    두번째는 각 파일시스템에 할당된 용량이며,
    세번째는 사용된 용량이며,
    네번째는 사용가능한(사용되지않고 남아 있는) 용량이며,
    다섯번째는 사용율(즉, 전체할당된 용량의 사용된 용량의 백분율)을 나타내며,
    여섯번째는 각 파일시스템이 마운트된 마운트포인트를 표시한다.

     

    사용예 #2

    다음은 표시되는용량을 KB단위로 표시하는 예를보자.
    -k옵션을 사용하면 표시되는 용량단위가 KB단위가 된다.

    [root@su21 root]# df -k
    Filesystem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dev/hda2              5036316   1496652   3283832  32% /
    /dev/hdb1            118729904 102705776   9992928  92% /backup
    /dev/hda1               241116      7587    221081   4% /boot
    /dev/hda6            112420772  74125616  32584452  70% /home
    none                    256560         0    256560   0% /dev/shm
    /dev/hdc             118733244  93534688  19167188  83% /backup2
    /dev/hdd             118733244  52458312  60243564  47% /backup3
    [root@su21 root]#

    하지만, 아무런 옵션없이 사용하여도 기본 표시단위가 KB이므로 -k옵션은 디폴트(default)라고 생각하면 된다.


    사용예 #3


    이번에는 표시되는 용량단위를 MB(Mega Byte)로 표시되도록 해보자.
    아래 예를 보면 알겠지만 MB단위로 용량을 표시하려면 -m옵션을 사용한다.

    [root@su21 root]# df -m
    Filesystem           1M-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dev/hda2                 4918      1462      3206  32% /
    /dev/hdb1               115947    100299      9758  92% /backup
    /dev/hda1                  235         8       215   4% /boot
    /dev/hda6               109786     72389     31820  70% /home
    none                       250         0       250   0% /dev/shm
    /dev/hdc                115950     91343     18717  83% /backup2
    /dev/hdd                115950     51229     58831  47% /backup3
    [root@su21 root]#


    사용예 #4

    이번에는 표시되는 용량단위를 직접 표시해 보자.
    du라는 명령어의 옵션에서 -h라는 옵션을 보았듯이 df명령어에도 -h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 .
    -h옵션은 human-readable이라는 의미에서도 알 수 있듯이 사람이 보기 쉽도록 용량단위를 붙여서 표시해준다.

    [root@su21 root]#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hda2             4.8G  1.5G  3.1G  32% /
    /dev/hdb1             113G   98G  9.5G  92% /backup
    /dev/hda1             235M  7.5M  215M   4% /boot
    /dev/hda6             107G   71G   31G  70% /home
    none                  250M     0  250M   0% /dev/shm
    /dev/hdc              113G   90G   18G  83% /backup2
    /dev/hdd              113G   51G   57G  47% /backup3
    [root@su21 root]#

    위의 결과를 보면 용량이 표시가 되어 있기 때문에 한번에 알기 쉽도록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서버관리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옵션또한 -h옵션이다.

    서버관리자로서 일을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꼭 알아두어야하는 옵션이다.


    사용예 #5

    파일시스템의 크기가 0인 것까지 모든 파일시스템을 확인하는 옵션인 -a를 사용해 보자.

    [root@su21 root]# df -a
    Filesystem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dev/hda2              5036316   1496652   3283832  32% /
    none                         0         0         0   -  /proc
    usbdevfs                     0         0         0   -  /proc/bus/usb
    /dev/hdb1            118729904 102705776   9992928  92% /backup
    /dev/hda1               241116      7587    221081   4% /boot
    none                         0         0         0   -  /dev/pts
    /dev/hda6            112420772  74125704  32584364  70% /home
    none                    256560         0    256560   0% /dev/shm
    /dev/hdc             118733244  93534688  19167188  83% /backup2
    /dev/hdd             118733244  52458312  60243564  47% /backup3
    [root@su21 root]#

    앞서 볼 수 없었던 파일시스템인 /proc, /proc/bus/usb, /dev/pts등이 보인다.
    이들 파일시스템들은 모두 할당용량, 사용량, 가용량등이 모두 0이므로 굳이 표시해야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에 기본표시에서는 제외하였다.
    하지만 이들 파일시스템을 모두 확인코자 한다면 위와 같이 -a옵션을 추가하여 사용하면 된다.


    사용예 #6

    블럭 사용정보 대신에 inode 사용정보를 표시하려면 -i 옵션을 사용한다.

    [root@su21 root]# df -i  
    Filesystem            Inodes   IUsed   IFree IUse% Mounted on
    /dev/hda2             640000   75118  564882   12% /
    /dev/hdb1            15089664     620 15089044    1% /backup
    /dev/hda1              62248      41   62207    1% /boot
    /dev/hda6            14286848   26298 14260550    1% /home
    none                   64140       1   64139    1% /dev/shm
    /dev/hdc             15089664     317 15089347    1% /backup2
    /dev/hdd             15089664     710 15088954    1% /backup3
    [root@su21 root]#


    사용예 #7

    각 파일시스템들의 사용량정보를 보여주었던 정보에서 파일시스템타입(file system type)을 확인할 수 있다면 다음과 같이 해보자.

    즉, -T옵션은 각 파일시스템들이 사용하고 있는 파일시스템 종류를 추가로 표시해준다.
    이 파일시스템의 종류는 서버관리자에게는 매우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root@su21 root]# df -T
    Filesystem    Type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dev/hda2     ext3     5036316   1496652   3283832  32% /
    /dev/hdb1     ext3   118729904 102705776   9992928  92% /backup
    /dev/hda1     ext3      241116      7587    221081   4% /boot
    /dev/hda6     ext3   112420772  74125804  32584264  70% /home
    none         tmpfs      256560         0    256560   0% /dev/shm
    /dev/hdc      ext2   118733244  93534688  19167188  83% /backup2
    /dev/hdd      ext2   118733244  52458312  60243564  47% /backup3
    [root@su21 root]#

    위의 결과에서 각 파일시스템들의 장치명 다음에 파일시스템 종류를 표시하고 있다.

    위에서도 말했지만 df는 서버관리자라면 반드시 알고 있어야하는 명령어이며,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는 명령어가 아닌 관리자용 명령어라 할 수 있다.

    파일시스템 풀(Full)로 인한 서버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df명령어를 이용하여 주기적인 파일시스템 사용량을 점검하기 바란다.


    저작권: 리눅스포탈 (www.superuser.co.kr), 무단 재배포및 복사를 금합니다.


     

     

    출처 : http://www.superuser.co.kr/superuserboard/view.html?id=36&code=linuxcom&start=50&position=

    답변 달기
  • Profile
    2017 년 04 월 05 일 (15:40)
    tar 압축 해제
    tar -xvf test.tar.bz2
    답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