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어 표기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일전에 9.4일자로 질문을 올렸던 사항입니다만..다시 한 번 답변 부탁드립니다..^^;;
현재 제품 사용 설명서에 'Thumbnail index'형식의 화면을 가리켜 '섬네일 인덱스 화면', '썸네일 인덱스 화면'두가지 표기방안을 두고 의견이 분분합니다.
일반적으로 DVD 제품군이나, thumbnail display가 가능한 제품군들에서 주로 '썸네일 화면'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9.4일자 최진희씨의 답변처럼, 발음('th')을 기준을 외래어를 표기하게 된다면, '썸네일'이 아닌 '섬네일'이
맞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인터넷이나 각종 자료들을 참조하여 보면, 현재 '썸네일'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많이 사용되고 있다고, 표준어 기준에 맞는 것은 아닙니다만..
저희 회사 제품의 해당어 표기를 이번 답변을 기준으로 제작하려 합니다.
(현재 DVD나 디지털카메라 등, 디지털 제품의 기기의 재생화면에서 손톱만한 크기의 화면이
인덱스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된다고 하여, 주로 'thumbnail index view'등으로 표현되며, 한국어로는
'섬네일 인덱스 화면', '썸네일 인덱스 화면', '멀티 화면', '여러 개 보기 화면'등으로 혼재하여 사용되고 있습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위키백과 참조 자료=> 위키백과 사이트를 참조하시면 '썸네일'로 정의 내려져 있습니다..
썸네일(thumbnail)은 사진의 축소판이며 사진을 탐색하면서 알아 보기 쉽게 만들어 주며 그림을 일반 문자열 색인와 같게 취급한다. 비스타 검색 엔진과 그림 관리 프로그램은 윈도 XP, KDE, 그놈과 같은 현대 운영체제나 데스크톱 환경과 같이 이러한 방식을 보통 사용한다.
자동 썸네일 기능은 더 큰 사진을 작은 크기로 바꾸어 주는 것이며 결과물이 썸네일의 품질을 말해 주지는 않는다.
웹 디자이너로서의 실력이 높지 않은 사람들은 큰 사진의 크기를 줄일 때 작은 크기(해상도)의 사진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HTML 인코딩을 사용한다. HTML 인코딩은 그러나 사진의 크기를 실제로 줄여 주는 것이 아니라 크기를 조절해서 보여주는 것 뿐이며 브라우저 크기 조절의 시각 품질은 기대했던 것보다 그리 좋지는 않다. 그렇기 때문에 HTML 인코딩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직접 사진 크기를 별도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줄이는 것이 권장된다. 사진 크기를 직접 줄이는 것으로써 네트워크 트래픽 문제를 줄이고 사용자들의 웹 페이지 다운로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윈도 비스타에서의 썸네일 기능은 "창 미리보기" 또는 "축소판"으로 번역하고 있다. 실제로 윈도 에어로를 사용하고 있는 동안 작업 표시줄의 프로그램을 마우스 커서로 가리키기만 해도 실제 크기의 창이 썸네일 처리되어 작은 크기로 보이게 된다.
답변 :
안녕하십니까?
문의하신 단어가 신어 조사 목록에 오를 수 있도록 해당 부서에 연락해 검토를 요청하겠습니다만, 신어 목록에 오른다 하여도 단지 언어 실태 조사 연구에 지나지 않으므로, 모든 신어가 표준어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고, 인정된다 하더라도 표준어가 되기까지는 시간이 많이 걸릴 것입니다. 따라서 지난번에 답변 드린 것은 현재의 외래어 표기법을 적용하여 표기하는 방법을 제시해 드린 것입니다. 한편, 제품 출시 등과 관련해 더 자세한 상담을 받고 싶으시다면 국어 문화원을 이용해 보실 것을 권고 드립니다. 민간업체에서 어떤 이익을 위한 일을 위해 감수를 원하신다면 감수료를 내고 정식으로 '국어 문화원'을 이용하셔야 합니다. ‘온라인 가나다’에서는 규정에 근거한 답변만 드릴 수 있을 뿐, 특별히 감수를 해 드릴 수 있는 위치에 있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아래에 현재 운영되고 있는 국어 문화원을 소개해 드립니다.
* 상명대학교 국어상담소
* 경북대학교 국어생활상담소
* 경상대학교 국어문화센터
* 국어단체연합 국어상담소
* 동아대학교 국어상담센터
* 영남대학교 국어생활상담연구센터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상담소
* 전남대학교 국어교육원
* 청주대학교 국어상담소
* 충북대학교 국어생활연구소
* KBS 한국방송 한국어상담소
* 전주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 강원대학교 국어상담소
* 제주대학교 국어상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