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를 활용해 Figma 댓글➡️ 체계화 된 문서로 만드는 법-실시간으로!]
안녕하세요! 오늘은 AI워크플로우를 짜서 figma의 모든 댓글을 긁어오고
문서로 정리하는 방법이 있어서 공유드려 봅니다.
1. https://www.make.com/en 에서 시나리오 -> Figma 추가
2. ai툴, google docs연결
3. 지정한 타이밍마다 댓글을 긁어와서 구글 docs에 정리해주는 방식입니다.
플로우가 조금 길어서 아티클 원문을
피그마 피디아에 정리해 두었으니 함께 참고해 보세요!
https://www.figmapedia.com/1b2fdea8-0034-80ed-9580-daa21eb6893c
[AI를 활용해 Figma 댓글

안녕하세요! 오늘은 AI워크플로우를 짜서 figma의 모든 댓글을 긁어오고
문서로 정리하는 방법이 있어서 공유드려 봅니다.
플로우가 조금 긴데, 아티클 원문과 함께 참고해보세요!
아티클 원문

(파일 ID를 입력해줍니다. 파일 링크 뒤의 id=xxxxxx라고 된 부분을 복사&붙여넣기 하심 되어요)

요약할 ai툴 항목 추가(예시에선 gemini를 썼네요) 툴과 gemini사이에 변수 값 입력해서 필요한 항목만 추출(이미지 예시 그대로 하면 됩니다)

요약할 ai툴 항목 추가(예시에선 gemini를 썼네요) 툴과 gemini사이에 변수 값 입력해서 필요한 항목만 추출(이미지 예시 그대로 variable value 입력 하면 됩니다)



아래는 그냥 예시입니다.
아래는 디자인 파일에 있는 Figma 주석 목록입니다.- 콘텐츠의 내용을 기준으로 최대 **4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합니다.- 내용을 수정하거나 구성하지 않고 **Figma 코멘트에서 사용된 정확한 문구**를 사용하세요.- 각 카테고리에는 다음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 `<h2>카테고리 이름</h2>`을 사용한 **제목**. - `<p><b>요약 텍스트는 여기에</b></p>` 안에 **굵은 글씨로 요약**을 적었습니다. - `<ul><li>"실제 Figma 설명"</li></ul>` 안에 **실제 예시 목록** (목록 앞에 공백 포함) - **카테고리당 최대 4개의 요점으로 제한**.- **새로운 예를 추가하지 마세요. 포맷된 주석에 제공된 것만 사용하세요.**- 댓글이 3가지 카테고리에 속하지 않을 경우, ``기타``에 남겨주세요.- **HTML 형식으로만 응답할 수 있으며** 다음 태그를 사용해야 합니다. `<h2>`, `<p>`, `<ul>`, `<li>`, `<b>`, 및 `<a>`.---### **Figma 코멘트(파일에서 동적으로 가져옴):**{{포맷된 댓글}}
Plain Text
복사


구글 docs항목을 추가하고 저장하면 끝입니다.